지난 2018년 12월 첫 창간한 수출입신문은 당시 경제지를 표방하며 인터넷신문으로 첫 발을 내딛였는데, 이후 2025년 8월 재창간하며 전문지의 길을 걷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한창이던 2018년 기자로서 첫 발걸음을 내딛었던 그때 그 초심 그대로 수출입신문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Blockchain)을 3대 축으로 관련 기술을 소개하고 연계된 산업 현황과 글로벌 경제를 소개하는 매체가 되려고 한다. 올해는 AI로의 전환을 넘어 경제 깊숙이 AI가 스며들어 경제 주체들의 활동을 돕고 있다. AI를 활용한 챗GPT의 인기는 기존에 구현하기 힘들었던 일도 가능하게 만들며 새로운 분야의 경제 활동과 산업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인공지능은 학습을 통해 점점 더 똑똑해져 사람의 능력을 넘어서고 있다. 특히 더 중요한 것은 AI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인류의 유산을 거의 모두 체득하고 미래의 예상치를 결정할 단계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제는 사람 혼자 결정하던 일을 챗GPT 등 AI 관련 툴이 방향을 검토하고 상당한 비율로 관여하고 있다. 그만큼 정확도와 유용성에 있어 AI의 신뢰도는 높아졌다. 앞으로는 사람 혼자 단독으로 결정
지난 10월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 보문단지 국제회의복합지구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막을 내렸다. 이번 경주 APEC 정상회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포함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참가하는 등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무엇보다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미-중 정상이 한 자리에 모여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누고 관세 등 양국 현안을 논의했다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개최국으로서 한국의 역할이 주효했는지는 좀 더 두고 볼 일이다. 경제 협력이 가시화된 것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반도체 전쟁의 각축전 속에 젠슨황 엔비디아 CEO의 역할은 다른 어떤 정상들보다도 큰 영향력을 발휘한 모습이다. 어쩌면 이미 앞으로의 인공지능과 반도체 생태계에서 엔비디아의 주도 아래 한국 기업들의 미래가 좌지우지 될 지도 모를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은 그만큼 의존도가 높아졌다는 방증일 것이다. 일단 한국은 한미동맹 아래 미국 중심의 질서에 편성돼 있다. 그렇다고 중국과의 교류에도 손놓고 있을 수는 없기에 양국의 교두보 역할을 하겠다는 심산인데 이번 APEC에서 좀 더 다각화된 외교·경제 채널이 가속화 됐는지는 의문이다. 보여주기식 외교가 아닌, 중
챗GPT 등장으로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나 일을 할 때나 많은 부분에서 인공지능(AI)의 도움을 받는다. 바야흐로 AI 전성시대인 것이다. AI가 우리 삶 속에 들어와 있고, AI가 없는 세상이 상상할 수 없을 정도가 됐지만 정작 AI를 어떻게 사용해야 되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렇다면 AI를 어떻게 사용해야 제대로 쓰는 걸까? AI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우리가 왜 AI를 사용하는지 알아야 한다. 대부분 AI를 사용하는 목적은 일의 효율성이다. 짧은 시간에 일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사용자가 AI를 사용하는 이유가 도구로 사용하는데 있음을 뜻한다. 도구는 목적에 맞게 사용해야 효과적이다. 그렇기에 사용자는 AI를 사용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그리고 내가 원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고 도구로 사용해야 된다. 그렇지 않다면 사용자는 제아무리 좋은 성능의 AI라도 제대로 활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 사용자는 AI의 답변이 100% 정확하지 않다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챗GPT를 예로 든다면 검색창 맨 아랫쪽에 ‘ChatGPT는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있는데, 사용자는 AI를 사용할 때 검색된 내용이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