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인재개발원은 지난 5일부터 ‘인공지능(AI) 미래혁신 전략과정’을 개설해 본청 과장과 본부세관 국장 등 핵심 간부 50명을 대상으로 정책 의사결정에 필요한 AI 활용역량 교육을 실시했다. 9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번 교육은 관세청이 추진 중인 ‘관세행정 전 분야의 AI 대전환’을 인적 자원 측면에서 뒷받침하기 위한 핵심 교육과정으로, 정책결정자 스스로 AI를 이해하고 행정 현장에 접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AI 미래혁신 전략 과정은 사전 온라인 학습과 집합 실습교육을 결합한 블렌디드 러닝 형태로 운영됐다. 지난 10월에 진행된 사전학습에서는 AI 기술이해, 공공분야 성공사례, AI 윤리 등을 학습하고, 이달 5~7일 진행된 집합교육에서는 실제 행정 업무에 적용 가능한 AI 실습 중심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김주호 KAIST 전산학부 교수는 ‘AI 리터러시 리뷰’강의를 통해 AI의 기본원리, 생성형 AI의 행정활용, 윤리적 쟁점을 다루며 정책결정자의 AI 이해도와 전략적 사고를 높였다. 신성진 한국데이터사이언티스협회 대표는 ‘문서·보고서 자동화’, ‘데이터 분석’및 ‘GPTs 구축 실습’을 통해 정책·행정 업무 자동화 기법을 소개하고, 채봉규 관세청 인공지능
챗GPT 등장으로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나 일을 할 때나 많은 부분에서 인공지능(AI)의 도움을 받는다. 바야흐로 AI 전성시대인 것이다. AI가 우리 삶 속에 들어와 있고, AI가 없는 세상이 상상할 수 없을 정도가 됐지만 정작 AI를 어떻게 사용해야 되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렇다면 AI를 어떻게 사용해야 제대로 쓰는 걸까? AI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우리가 왜 AI를 사용하는지 알아야 한다. 대부분 AI를 사용하는 목적은 일의 효율성이다. 짧은 시간에 일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사용자가 AI를 사용하는 이유가 도구로 사용하는데 있음을 뜻한다. 도구는 목적에 맞게 사용해야 효과적이다. 그렇기에 사용자는 AI를 사용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그리고 내가 원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고 도구로 사용해야 된다. 그렇지 않다면 사용자는 제아무리 좋은 성능의 AI라도 제대로 활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 사용자는 AI의 답변이 100% 정확하지 않다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챗GPT를 예로 든다면 검색창 맨 아랫쪽에 ‘ChatGPT는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있는데, 사용자는 AI를 사용할 때 검색된 내용이 사